분류 전체보기47 신교육사회확 기존의 기능론과 갈등론이 교육을 정치, 경제의 종속변수로만 파악하고 교육의 결과에만 주목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아왔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일련의 학자들이 학교 외부가 아닌 내부의 현상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를 신교윣회화 또는 교육과정사회학이라 한다. 신교육사회학자들은 지식이 학교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가 하는 문제와 학교조직 내에서 상호작용하는 요소 간의 구조적인 관계, 수업상황의 이해와 수업상황의 의미가 결정되는 방법 간의 관계를 밝히려고 시도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신교육사회학자들은 교육 연구 방법에 있어서 해석적 접근을 시도한다.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은 실증주의적, 결정론적, 법칙 중립적 연구 경향을 가지고 있다. 해석적 접근은 이러한 연구 경향을 비판하고 일상생활의 상호작용과정에서 행위자.. 2023. 2. 26. 윌리스의 저항이론과 지위경쟁이론 윌리스의 연구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강조하는 지배문화에 어떻게 저항하고 있는지를 문화가 갖는 상대적 자율성의 관점에서 해명할 수 있는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문화는 개인은 의식과 정체성 형성에 고유한 기능을 하고 있으며, 노동계급의 학생들은 학교가 전파하고 주입하는 이데올로기를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존재가 아니라 대항하고 거부하는 주체적 존재이다. 학교 교육을 통한 지배 이데올로기의 재생산은 피지배계급의 저항 없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학교는 사회계급들을 이데올리기가 충돌되며 대결하는 주도권의 쟁탈이 벌어지는 곳임을 드러내 보이는 것이다. 윌리스의 연구는 노동계급문화가 형성한 문화정치가 노동계급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사회 재생산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밝히고.. 2023. 2. 26. 경제생산론과 문화재생산론 보 울 수 와 인티스의 경제재생산론은 자본주의 미국 사회의 학교 교육에서 미국 교육의 바탕을 이룬 자유주의적 전통 속에서 학교는 사회 통합의 측면에서는 상당히 성한 것으로 보이지만, 사회 평등화와 전인적 발달의 측면에서는 그 기능 수행이 적절하지 못했다고 본다.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그 원인은 교육 자체의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학교와 사회구조의 관련성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들에 따르면, 생산의 사회적 관계와 교육의 사회적 관계는 대응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노동자들이 직무내용에 대해 통제권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학생들은 교육과정에 대해 통제권이 없다, 노동이 외적 보상인 임금을 얻기 위해 이루어지는 것과 같이 교육도 외적 보상인 성적, 졸업장 취득 등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교육 수준은 다양.. 2023. 2. 26. 갈등론 마르크스의 사상이 근간이 되어 기존의 기능론적인 교육사회학 이론을 비판하며 등장하였다. 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의 기능과 교육 현실에 대해 비판적 주장을 제기하였다. 갈등론 이론가들은 교육의 불평등과 불공정성을 파헤치고 사회적 불평등이 학교 교육을 통하여 어떻게 강화, 유지되는가를 밝히려는데 주요 관심이 있다. 마르크스의 사상을 살펴보면 뒤르켕이 사회를 생물학적 유기체에 비유하였다면, 마르크스는 사회를 건물에 비유하였다 마르크스에 의하면 사회는 토대와 상부구조로 이루어진 건물이다. 토대는 경제를 말하며, 상부구조는 정치, 사회, 문화 교육 등 사회의 제반 부분들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부구조는 경제에 의하여 모든 것이 결정된다고 보았기에 마르크스를 경제결정론 자라 한다. 사회의 본질은 갈등.. 2023. 2. 25. 이전 1 ··· 5 6 7 8 9 10 11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