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론적 관점은 학교 교육은 능력이라는 성취요인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개인의 사회적 이동을 돕는 것이라 보았다. 즉, 학교 교육이 사회적 상승이동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사회이동과정을 인과관계로 체계화하여 처음으로 직업적 지위에 대한 사회 이동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직업 지위획득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추적 분석함으로써 사회이동의 과정을 밝히려 하였다. 지위획득의 결정변수는 4가지로 보았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교육, 아버지의 직업, 본인의 교육(가장 직접적 영향 미침, 본인의 첫 번째 직업이다. 연구 결과, 발라우와 덩컨은 아버지의 교육, 직업 같은 가정 배경 요인과 사회적 지위, 직업적 지위의 상당 부분이 결정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는 각 개인이 성공하는 데 자신의 학교 교육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과 과정에 의해 경험적으로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발라우와 던컨이 주로 객관적인 변인만을 사용했기에 심리적 변인을 매개시켰다. 연구 결과, 아버지의 지위가 아들의 지위나 학교 교육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직업적 지위는 본인의 학교 교육 수준에 의해 70% 정도가 결정된다고 밝힌 점에서 발라우와 더 넌 연구 결과와 일치했다. 갈등론적 관점은 학교 교육은 사회적 지위 이동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개인의 가정 배경이 사회 지위 이동에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교육은 성취요인을 가장한 귀속 여인이라고 본다. 미국 사회과학 역사상 두 번쨰의 거대한 규모의 연구로, 교육에 관한 신화와 신념에 대한 강력한 경험적 비판이며 미국 교육사회학의 가장 중요하고도 거대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이 연구는 미국 내 6개의 주요 인종 및 소수민족 집단 간의 학교 간, 지역 간에 존재하는 교육 기회와 효과의 불균등 현상 및 소수민족 집단 간의 학교 간, 지역 간에 존재하는 교육 기회와 효과의 불균등 현상 및 원인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었다. 그 연구 대상은 미국 전 지역의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 학생 중 1 속하는 645,000명과 교사 60,000여명을 표집으로 조사하였다. 103개의 연구 변인을 가지고 조사한 결과, 학생의 가정 배경은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의 물질적인 시설, 교육과정, 교사의 질 등은 성적에 매우 적은 영향을 주는데, 이 중에서 교사의 질은 그나마 다른 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콜맨의 연구는 학교가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별로 공헌을 못 하고 있으며, 사회적 평등을 위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젤 키스는 학교 교육의 연한이나 인지적 요인과 개인의 수입과 별 상관이 없으며, 아버지의 직업이나 교육도 아들의 수입과는 거의 관련이 없다. 대신 가정 배경과 자녀의 교육감에게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학생의 학업성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가정의 사회 배경적 배경과 학생의 인지적 능력이었다.
'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격차의 인과론 (0) | 2023.03.04 |
---|---|
교육과 평등 (0) | 2023.03.02 |
사회이동의 개념과 터너의 교육체제 (0) | 2023.02.28 |
영의 지식통계와 번스타인의 언어사회화와 계급 (0) | 2023.02.27 |
해석적 접근과 이론 (0) | 2023.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