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27 갈등론 마르크스의 사상이 근간이 되어 기존의 기능론적인 교육사회학 이론을 비판하며 등장하였다. 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의 기능과 교육 현실에 대해 비판적 주장을 제기하였다. 갈등론 이론가들은 교육의 불평등과 불공정성을 파헤치고 사회적 불평등이 학교 교육을 통하여 어떻게 강화, 유지되는가를 밝히려는데 주요 관심이 있다. 마르크스의 사상을 살펴보면 뒤르켕이 사회를 생물학적 유기체에 비유하였다면, 마르크스는 사회를 건물에 비유하였다 마르크스에 의하면 사회는 토대와 상부구조로 이루어진 건물이다. 토대는 경제를 말하며, 상부구조는 정치, 사회, 문화 교육 등 사회의 제반 부분들을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부구조는 경제에 의하여 모든 것이 결정된다고 보았기에 마르크스를 경제결정론 자라 한다. 사회의 본질은 갈등.. 2023. 2. 25. 구조기능주의 뒤로 게임에 의해 발전되어 파슨스에 의하여 체계화되었다. 기능이론은 사회의 본질을 상호의존적인 관계 또는 부분의 집합으로 구성된 체계로 본다. 사회를 생물학적 유기체로 비유하여 사회의 본질과 그 안에서의 교육의 기능을 밝히려 하였다. 중심 개념을 살펴보면 사회는 생물학적 유기체와 같이 여러 부분이나 기관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인체와 비유하면 전체 사회는 몸이고 사회 내의 개인, 학교, 가정, 회사 같은 것은 인체의 부분, 즉 머리, 가슴, 위장, 폐등과 같은 기관에 해당한다. 인체의 각 기관이 각기 담당하고 있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기능을 순조롭게 수행하듯이, 사회 내부의 각 부분이 전체 사회체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기능함으로써 몸 전체의 형평을 유지한다. 따라서.. 2023. 2. 25. 비판이론 비판이론은 1920년대부터 프랑크푸르트학파를 중심으로 현대 자본주의 회의 구조적 모순과 인간소외 문제를 다루는 철학적 흐름을 말한다. 인간해방을 강조하는 사회철학으로 현대사회를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며 개인의 문제보다는 사회나 체제의 문제에 관심을 갖는다. 이들은 바본 주의적 사회체제와 정통 마르크스주의를 동시에 비판하기 때문에 신마르크스주의라 불린다. 비판이론은 자본주의 레저로 말미암아 개인의 자유가 위축되고 인간을 생산체제에 종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본다. 비판이론에서는 인간사회의 모든 현상이 사회체제 속에서 구성되기 때문에 사회성과 역사성을 지닌다고 본다. 따라서 가치중립적인 실증주의적 사고를 비판한다. 비판이론가들은 이론은 해방적 실천을 목적으로 개발되는 것이기에 실천과 분리될 수 있는 것이.. 2023. 2. 24.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은 20세기 후반의 소비와 쾌락이 넘치는 사회 속에서 형성된 문화 논리이자 사상체계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과학이나 언어, 예술, 사회와 문화에 대한 합리적 이해를 가능케 하는 객관적 근거, 즉 궁극적 법칙이나 논리, 또는 구조를 인간의 이성에 의해서 찾아낼 수 있다는 계몽 사상적 이성, 혹은 합리성에 대한 믿음을 거역하고 보편적 이론이나 사상의 거대한 체계, 거대 담론의 해체를 주장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반정초주의에 기초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은 즉, 도덕이나 다른 영역에서 궁극적이고 절대적인 본질로서의 기초란 없다고 본다. 왜냐하면 가치는 문화적 구성물이며, 시대에 따라서 변하고 문화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다원 주를 표방하며, 상이한 사회와 이익집단들은 그들의 특정한 필요와 문화에 적합한 가.. 2023. 2. 24.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